오늘은 교회력으로 ‘삼위일체주일’로 실상 그동안 별로 기념하지 않던 주일입니다. 대강절과 성탄절, 사순절과 부활절 그리고 성령강림절 등은 기억되고 잘 지켜지는 반면에 삼위일체주일은 잘 기억하지 않았습니다. 그런 이유 중의 하나는 어떤 사건을 기억하고 기념하는 것이 아니라, 이념 즉 교리를 선포하고 강조하는 주일이기 때문입니다. 아무튼 이렇게 주일에 특별한 이름이 존재한다는 것은 그만큼 교회와 신앙에서 중요하다는 것을 의미하는 것입니다. 1년을 주기로 교회력을 지키는데, 실제적인 교회력은 6개월간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 주님오심을 기다리는 대강절과 성탄절, 주님의 나타나심을 기리는 주현절, 그리고 이어지는 사순절, 교회력의 핵인 부활절, 그리고 50일후인 오순절, 즉 성령강림절, 바로 여기까지가 교회력의 전반기인 것입니다. 그리고 이어지는 오늘부터는 성령강림후 첫 번째 주일로 일상력(Ordinary Time)으로 접어듭니다.
전반기의 6개월이 주로 교회 내에 초점이 맞추어져 있다면, 삼위일체주일부터 시작하는 일상력은 교회 밖에 초점이 맞추어져 있습니다. 성령받은 후 제자들은 세상을 향하여 ‘파송’받았습니다. 즉 일상력의 메시지는 ‘파송’입니다. 성령강림후 첫주일인 오늘 파송 첫 번째 주일을 우리의 선배들은 ‘삼위일체 주일’로 지켰습니다. 왜 그랬을까요? 그것은 우리들이 성령받고 세상에 파송될 때에 가장 중요한 점을 다시 한번 확인시켜 주고 있는 듯합니다. 무엇입니까? 그것은 신앙을 분명히 하라는 의도입니다. 우리가 믿는 우리의 하나님은 어떤 하나님인가? 신앙의 대상이 중요합니다. 기도를 할 때도 마찬가지입니다. 기도를 하는 것보다 더욱 중요한 문제는 누구에게 기도하느냐는 것입니다. 우리의 신앙의 대상, 기도의 대상은 인격적인 하나님, 살아계신 하나님, 성경에 계시되어 있는 하나님, 즉 삼위일체의 하나님이 우리의 신앙과 기도의 대상입니다.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